![]() |
||||||||||||||||||||||||||
|
||||||||||||||||||||||||||
● 특허권(Patents) ● 1. 특허권 : 제 10-0419252 호 2.특허출원 번호 : 제 102912 호 |
||||||||||||||||||||||||||
1.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개요(Outline)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유입되는 진동에너지는 기본적인 내진받침, 제진받침, 면진받침이나 관련 장치에 집중시킴으로써 구조물을 보호한다. 당사의 내진보강 전단키는 구조물에 유입되는 진동에너지를 상부구조물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부구조물이 하부구조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발된 내진장치이다. |
||||||||||||||||||||||||||
2.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기술적 구조(Technical Structure) | ||||||||||||||||||||||||||
|
||||||||||||||||||||||||||
3.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기능 특성(Special Function Features) | ||||||||||||||||||||||||||
1) 구조물의 낙교 방지 2) 구조물의 설계변위를 초과한 이동거리 제한 3) 구조물의 거동방향 구속 4) 구조물의 수평력 증대 5) 구조물의 부반력 제어의 기능을 통해 구조물에 전달되는 지반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 혹은 감소시켜서 구조물을 보호하는데 월등한 역할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
4.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적용하중 및 규격(H-Load & Specificasation) | ||||||||||||||||||||||||||
|
||||||||||||||||||||||||||
5.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적용(Adjustment) | ||||||||||||||||||||||||||
1) 도로교량, 고가도로 및 기타 구조물의 내진 등급 성능향상이 필요한 경우 2) 건축 구조물의 내진 등급 성능향상이 필요한 경우 3) 철도 교량의 상로판, 하로판교 4) 구조물의 회전 및 이동이 필요한 경우 별도 설계 적용 사용 5) 일반적으로 받침의 성능과 상관없이 내진 보강 장치로 사용 |
||||||||||||||||||||||||||
6.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역학적 특성(Prosperity) | ||||||||||||||||||||||||||
엠피 내진보강전단키는 단기하중과 장기하중에 대하여 역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소규모의 지진이나
풍하중과 같이 짧은 시간 동안 작용하는 단기하중을 받을 경우, 기존 설치된 받침의 초기강성을
초과하는 경우 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온도변화 등과 같이 긴 시간동안 작용하는 장기하중을
받을 경우는 기존 설치된 받침의 항복으로 인하여 큰 수평력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거동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된다. 단기하중이든 장기하중이든 기존 설치 받침의 하중을 초과할 경우 내진보강전단키가 작동하여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한다. 엠피 보강전단키의 수평력특성은 아래와 같이 기존 설치 받침의 소성변형에 의한 이력곡선에 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
||||||||||||||||||||||||||
![]() |
||||||||||||||||||||||||||
7. 엠피 내진보강전단키의 설치 방법 순서도(Installation Sequenc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