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피 저고형 내진베어링(LAB)의 개요 (Outline) | ||||||||||||||||||||||||||||
저고형 내진베어링은 특수 교량받침으로써 하중지지 및 구조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회전량,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의 마찰 계수를 최소화시키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저고형 내진베어링은 전방향 가동받침으로 사용하나, 당사의 저고형 내진베어링은 고정, 일방향, 전방향으로 방향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조 설계 되어있다. (형하 고가 좁은 공간에도 사용가능) 엠피 저고형 내진베어링의 특징은 방향을 구속할 수 있고, 이동변위를 제한하여 교량 상부 구조의 탈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
엠피 저고형 내진베어링(LAB)의 구조 (Structure) | ||||||||||||||||||||||||||||
![]() |
||||||||||||||||||||||||||||
엠피 저고형 내진베어링(LAB)의 설계 조건 (Drawing Standard) | ||||||||||||||||||||||||||||
|
||||||||||||||||||||||||||||
엠피 저고형 내진베어링(LAB)의 적용 (Adjustment) | ||||||||||||||||||||||||||||
⑴ 교량 및 기타 구조물의 상·하부 유간이 좁은 경우 사용. ⑵ 철도 교량의 하로판교에 적용. ⑶ 교량 점검 시설의 슬라이딩 작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 ⑷ 구조물의 회전 및 이동이 필요한 경우 적용. ⑸ 일반적으로 전방향 가동받침으로 사용하나, 당사의 저고형 내진베어링은 방향을 구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 |
||||||||||||||||||||||||||||
시공사진 (Installation Photographs) | ||||||||||||||||||||||||||||
![]() |
||||||||||||||||||||||||||||
엠피 저고형 내진베어링(LAB)의 규격(Specifications) | ||||||||||||||||||||||||||||
(단위:mm) |
||||||||||||||||||||||||||||
![]() |
||||||||||||||||||||||||||||
▶기타 세부규격은 문의 바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