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 Joint Series 구조 | ||||||||
![]() |
||||||||
Cross Joint Series 특허권 | ||||||||
● 특허권 : 제0247461호 | ||||||||
Cross Joint Series 공통 특징 | ||||||||
● 본 제품의 특성 - 종조인트와 횡조인트가 만나는 부위에 종횡 복합구조의 일체형 신축이음장치 - 적용 교량 - 강교, PC교, RC교 등 신설 및 보수공사에 다양하게 적용 - 내구성 - 상부보호 강판과 측판을 Cross 형으로 일체화시키고, 현장여건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특수 배합 설계된 고무 - (또는 EVA)를 상판 하부에 접착하여 내구성을 높임. - 주행성 -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고, 상판이 평탄성이 뛰어나도록 설계하여 주행 충격 - 가중치를 극소화시켜 안정된 승차감을 유지하도록 함. - 진동 및 소음 - 고무(또는 EVA + 충진재)와 강재를 접착시켜 강재계 신축이음장치의 맹점인 차륜 충격 진동을 고무가 흡수하도록 구조 - 설계하였고, 흡음재를 내장(또는 EVA설치)시켜 자기공명 자멸공법으로 소음을 흡수함. - 시공의 정밀성 - 구조물의 유간부 형상에 따라 제작된 신축이음장치를 1회에 시공하므로 시공성이 뛰어남. - 시공성, 방수성 및 배수형 신축이음장치 - 신축이음장치 연결 작업시 신축이음장치 본체와 일체로 설치하므로 누수를 방지하고, 이물질 침입을 완전 차단함. - 경제성 - 우수한 내구성 및 설치후 유지보수의 교체 Cycle이 길어 정부의 예산 절감 효과가 높음. |
||||||||
Cross Joint Series Type별 특징 | ||||||||
|
||||||||
Cross Joint Series Type별 규격 | ||||||||
● 규격은 현장 여건에 따른 다양한 신축구조 및 규격 적용으로 규격표 표기하지 않음. | ||||||||
Cross Joint Series Type별 시공사진 | ||||||||
![]() |